🎭 일본어 기초 강의 ⑪: 수동형과 사역형 – '당하다'와 '시키다'의 차이!
1. 수동형의 개념
수동형은 주어가 어떤 행동이나 상태의 영향을 받는 경우를 표현하는 문법입니다. 일본어에서 수동형은 주로 동사에 접미사를 붙여 형성합니다.
형성 방법
- 五段동사: 어간 + れる
- 一段동사: 어간 + られる
- 부정형 동사: 부정형 + られる
예시
- 食べる (たべる, 먹다) → 食べられる (먹히다)
- 書く (かく, 쓰다) → 書かれる (쓰이다)
사용 예
- 彼に本を読まれた。(그에게 책을 읽혔다.)
- 猫に魚を食べられた。(고양이에 의해 생선을 먹혔다.)
2. 사역형의 개념
사역형은 주어가 다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경우를 표현하는 문법입니다.
형성 방법
- 五段동사: 어간 + せる
- 一段동사: 어간 + させる
- 부정형 동사: 부정형 + せる
예시
- 食べる (たべる, 먹다) → 食べさせる (먹게 하다)
- 書く (かく, 쓰다) → 書かせる (쓰게 하다)
사용 예
- 彼に宿題をさせる。(그에게 숙제를 하게 한다.)
- 子供に野菜を食べさせる。(아이에게 채소를 먹게 한다.)
3. 수동형과 사역형의 차이
- 수동형은 주어가 행동의 영향을 받는 경우를 나타내며,
- 사역형은 주어가 다른 사람에게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경우를 나타냅니다.
4. 새로운 예제
수동형 예제
- 彼は先生に褒められた。
- (그는 선생님에게 칭찬을 받았다.)
사역형 예제
- 私は友達に歌を歌わせた。
- (나는 친구에게 노래를 부르게 했다.)
5. 연습 문제
- 다음 문장을 수동형으로 바꾸어 보세요.
- 彼女が本を読む。 → __________
- 다음 문장을 사역형으로 바꾸어 보세요.
- 私が子供を遊ぶ。 → __________